뉴스
“빅데이터·AI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본궤도 올랐다“ 마크로젠, 국내 최초 비의료기관 바이오뱅크 개설 허가
2024.06.04

2024년 6월 4일 –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이 비의료기관 중 국내 최초로 바이오뱅크(인체유래물은행) 개설 허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마크로젠은 누적 50만 건 이상의 유전자 분석 및 27년간의 연구 유전체 데이터와 마크로젠의료재단 건강검진센터를 통한 의료정보에, 공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체유래물은행의 전 세계 검체 자원까지 데이터·바이오뱅크를 통합적으로 확보하여 인공지능(AI) 디지털헬스케어를 위한 기반을 확립하게 됐다. 

 

바이오뱅크는 기증 동의 및 기탁 절차를 통해 혈액, 소변, 조직, 세포 등 인체자원 즉, 인체유래물 및 그와 관련된 역학, 임상, 유전정보 등을 수집·보존해 이를 직접 이용하거나 연구실 등에 제공하는 기관이다. 마크로젠은 질병관리청의 허가에 따라 영국 ‘UK바이오뱅크’, 미국 ‘올오브어스(All of Us)’, 핀란드 ‘핀젠(FinnGenn)’ 프로젝트와 같이 한국형 바이오뱅크를 개설하고 세계 곳곳의 대학, 연구실 등 임상 연구에 양질의 검체를 제공, 분양하여 신약/의료기기 개발, 질병의 원인 규명과 맞춤형 치료 등 미래 정밀의료 연구 및 바이오/디지털헬스 산업 강화에 적극 협력할 계획이다. 

 

특히 초거대·생성형 AI 시대에 유전정보와 생활습관 정보, 인체유래물 연구의 통합 데이터는 개인맞춤 정밀의료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자원이다. 이에 마크로젠 바이오뱅크는 지난해 6월 출시한 유전자/미생물 정보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젠톡(GenTok)과 궤를 같이 하며 방대한 규모의 유전정보, 다양한 인종 샘플 기탁 등 연구 분석 샘플 등을 포함해 모든 검체 자원 정보를 통합 구축할 예정이다. 바이오뱅크를 통하면 바이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임상 검체 신청/심의에 소요되는 기간을 단축하는 등 연구분야 수요를 충족할 뿐 아니라 급속하게 성장 중인 체외진단산업을 비롯한 바이오헬스 산업에 기여해 매출 견인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마크로젠은 2018년 획득한 미국실험실 표준인증인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 인증과 미국 병리학회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 인증 등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바이오뱅크를 관리하는 한편, CAP-CLIA 인증 항목에도 바이오뱅크를 추가할 예정이다. 

바이오뱅크의 환경적 이점도 있다. 인체유래물은행을 통해 실험 기자재 폐기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높이고 폐기물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마크로젠은 인체 자원을 의학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물론, ESG 가치를 더해 운영할 방침이다. 

 
김창훈 마크로젠 대표는 "올해 창립 27주년을 맞이한 마크로젠이 본원적 유전체 분석 분야에서 나아가 2020년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 건강검진센터 설립, 2023년 젠톡 헬스케어 플랫폼 출시와 더불어 이번 바이오뱅크까지 마크로젠 중장기 청사진의 모든 필요 요소를 두루 갖추게 된 것은 물론, 정밀의학 실현을 통해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목전에 둔 우리나라 미래 국가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어 "인류 건강증진을 위해 100세 시대 $100 개인별 DNA 몸설계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하는 마크로젠은 향후 5개년 계획으로서 1,000만 명 바이오뱅크 프로젝트를 염두에 두고 있으며, 앞으로 지원하고자 하는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사업에 검체 기탁 등 더욱 확대된 연구 교류의 장이 펼쳐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점점 커지고 있는 유전자원의 중요성도 장기적으로 바이오뱅크 운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원은 유전현상을 나타내는 생물 중 실질적/잠재적 이용도가 있거나 보존 가치가 있는 물질이다. 최근 WIPO(세계지식재산기구)가 유전자원 특허출원 시 유전자원 및 관련 지식의 출처를 공개하는 것을 의무화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인체유래물을 포함한 유전자원의 중요성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TOP